me2py 공개 (python module for me2day open API)

기타|2007. 8. 19. 22:59
Open API와 오픈소스(Open Source), 그 두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me2day Open API를 파이썬(python)에서 쉽게 쓸 수 있는 모듈, 터미널에서 명령어 기반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봤습니다.

어떤 이해 관계 없이 그저 재미를 위해 프로그램 개발해본 것이 얼마만인지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10년만인 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히 Open API를 어떻게 사용하나 궁금하였고 마침 파이썬을 배운지 얼마되지 않아 공부한 것을 활용해볼 목적으로 시작했는데, 생각보다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그 활용성은 떨어지지만 소스 코드를 오픈소스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를 이용해서 공개하였고 향후에도 계속 소스코드를 다듬어 보려고 합니다. 적어도 python을 공부하고 Open API 사용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번 기회에 배운게 상당히 많습니다.

  • open API의 동작과 인증 방법

  • python에서 http 처리하는 방법, 설정파일 만든 법, 단위테스트 모듈 사용하는 방법

  • KLDP.net에서 프로젝트를 만들고 운영하는 방법


이번에 KLDP.net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트를 살펴 보니까 활발하게 전체 780 프로젝트 중 1%이상의 활동을 보여주는 프로젝트가 약 85개 정도였스비다. 1%가 어느 정도 수준으로 운영되는지 가늠하기 힘들지만 생각보다 활발하게 운영되는 프로젝트가 많은 것 같지는 않습니다.

소스 코드를 공개한 의도는 좋았으나 그 이후가 더 중요하고 노력은 몇 배 더 듭니다. 대신 그 만큼 배우는 것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안정화, 최적화, 이식성, 국제화, 쉬운 설치와 사용성, 문서화 등은 나만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에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 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합니다.

또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운영하려면 상용 소프트웨어 못지 않은 치열한 경쟁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특히 많은 사람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려면 좀 더 가치있는 프로젝트를 선택해야 하고 꾸준한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me2py는 그런 수준의 소프트웨어는 아니지만 me2day 서비스가 발전할 수록 계속 업데이트 될 것이고 최소한 me2day API를 쉽게 테스트할 수 있는 테스트 도구나 터미널에서 명령어 기반으로 me2day 서비스를 사용하기 원하는 분이 있다면 나름대로 유용하게 쓸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과연 그럴 분들이 몇 명이 될지는 의문이 들지만.. ^^;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다른 분들이 개발한 Open API활용 코드가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Open API와 오픈소스는 서로 뭔가 잘 맞는 것 같습니다. ^^;

참고

댓글()

모질라 해커의 사명감

Mozilla|2007. 7. 29. 14:19
code/blog/attach/1/975959.png

전세계에는 열정 하나만으로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개발자가 많습니다. 그들은 우리가 사용하는 수 많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리눅스 커널 부터 파이어폭스까지 여러분이 컴퓨터를 켜고 웹을 사용하는 이 순간에도 그들이 만든 코드는 세상을 움직이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오픈소스 개발자들은 아무런 댓가 없이 약간의 귀차니즘과 재미 또는 사명감으로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펄(Perl)을 개발한 래리 월(Larry Wall)은 광역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시스템 관리 및 제어 프로그램을 개발하다가 상사에게 그 동한 한일을 보고하기 위해 만든 펄이라는 스크립트언어를 개발하였습니다. 파이썬(Python)의 사례는 더 재밌는데,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사는 귀도 반 로섬(Guido van Rossum)이 1989년 12월 크리스마스 때, 연구실은 닫히고 집에서 특별히 할일이 없어서 혼자 집에서 취미 삼아 재미로 시작한 프로젝트였습니다. 이들이 개발한 스크립트 언어는 지금도 수 많은 웹서버에 사용되고 있으며 구글 검색엔진 등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재미로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개발자도 있지만 오늘 소개할 모질라 해커는 특별한 사명감을 가지고 모질라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로버트 오칼라한(Robert O'Callahan)는 1999년 부터 모질라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게코(Gecko) 엔진을 개발해오고 있는데, 요즘은 파이어폭스(Firefox) 3.0 개발에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지요.

그의 인터뷰 기사를 뉴질랜드 신문에서 볼 수 있었습니다. 그는 기사에서 어도비(Adobe) 플래시(Flash) 기반의 웹 개발에 대해 많은 우려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플래시 뿐만 아니라 경쟁 제품인 MS 실버라이트가 파이어폭스가 추구한 기존 웹 모델과는 완전히 다르고 특정 회사가 관련 기술을 소유하고 지배하기 때문이지요.

"우리는 사람들이 웹 클라이언트를 통해 독점을 행사하는 것을 막고 싶다. 만약 누군가 웹컨텐츠의 렌더링 방식을 지배한다면, 결국 플랫폼까지 지배하게 되고 만다." - 로버트 오칼리한

현재 HTML이 문제가 많은 것은 사실입니다. 웹표준은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브라우저마다 다른 독자 방식으로 웹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현재 웹의 문제를 새로운 기술로 극복하겠다는 것인데, 로버트는 이런 부분을 경계하고 있었습니다. 그는 새로운 것으로 웹을 대신하려고 하지 말고 기존 웹의 문제를 개선하고 표준화에 힘써야 하고 기존 웹페이지에도 수정할 문제가 많다고 지적하였습니다.

HTML은 현재도 화면에 보여주는 부분과 구조를 구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는 현재도 진행중이고 HTML5가 나오면 해결된 전망입니다. 물론 또 다른 문제가 나오면 좀 더 발전된 HTML이 나오겠지요.

그는 MS가 지금 이순간 웹에 관심이 없으며 그렇기 때문에 MS를 웹에 대한 지배적 위치에서 끌어내리기 위해 파이어폭스의 시장 점유율을 더 높일 필요가 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그리고 윈도용 사파리를 출시한 애플(Apple)에 대해서도 애증(?)의 감정을 갖고 있는 듯 보였습니다. 사파리(Safari)가 파이어폭스의 점유율을 빼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모든 점유를 빼앗아갔으면 좋겠다고 하는데, 그들이 웹을 독점한다면 MS보다 더 신뢰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아마 지난 WWDC에서 스티브잡스(Steve Jobs) 프리젠테이션에서 사파리의 시장 점유율 목표에서 인터넷 익스플로러 점유율은 그대로 놔둔채 파이어폭스를 점유을 다 차지하겠다는 자료를 보여준 일 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 제발 마켓팅 얼간의 실수이기를 바란다는 메시지를 그의 블로그에서 볼 수 있었습니다.

이미 우리나라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독점 기술 남용으로 많은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기술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오용할 때, 심각한 문제가 나타납니다. 또한 개발회사가 갑자기 기술 지원을 중지하거나 정책을 변경하면 사용자는 큰 혼란을 겪게 됩니다.

모질라 해커의 생각을 통해 새삼 모질라 프로젝트가 추구하는 방향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플래시와 실버라이트가 사용자에게 좀 더 많은 시각적 효과와 경험을 제공한다고하지만 이는 또 다른 방법이지 웹을 표현하는 전부가 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누군가는 이런 기술을 통해 웹을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지요. 웹이 아주 화려하지는 않지만 표준화를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좀 더 다양한 기기에서 안전하고 보편적인 정보 공유 수단으로 자리잡아야겠습니다.

'Mozilla'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refox3.0 베타1과 Cairo  (0) 2007.11.22
Mozilla가 선택한 Deki Wiki  (1) 2007.11.20
Mobile Firefox는 어떤 모습일까?  (4) 2007.10.12
Firefox와 JavaScirpt의 미래  (1) 2007.10.08
Netscape Navigator 9 출시  (0) 2007.06.07

댓글()

클래지콰이 공연을 보고 나서 - UX 관점

기타|2007. 7. 17. 05:29


출처: http://www.flickr.com/photos/fifield/817572663/

가수의 공연을 많이 본 것은 아니지만 클래지콰이 공연을 보고 나니, iPhone과 같은 새로운 사용자 경험(UX)을 한 것 같습니다. 클래지콰이는 2004년 부터 지금까지 3장의 앨범을 통해 세련되고 감각적인 음악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번 공연 뿐만 아니라 그 동안 라이브 공연(라이브 영상을 보니)에서 보여준 다양한 시각적 효과는 매우 신선했고 그들의 음악 스타일과도 잘 어울렸습니다. 또한 돼지를 그들 앨범의 대표 캐릭터로 하여 모든 앨범자켓과 뮤지비디오에서 연출시켜 클래지콰이만의 독특한 아이콘도 만들어냈습니다.

clazziquai project concert 2

클래지콰이 콘서트 현장 자료화면 (출처: http://www.clazziquai.co.kr/)

이번 공연에서는 우선 대형 프로젝트를 이용하여 좌우로 고화질 영상을 보여주었고 무대중앙과 좌우에도 대형 전광판을 설치했는데, 무대 절반이 화려한 영상으로 도배되다시피하였습니다. 스크린과 전광판에는 뮤직비디오, 영상 자료, 라이브 무대가 상황에 맞게 연출되었고, 노래와 분위기에 맞는 모자이크 영상과 색채로 또 다른 영상 공연을 보여주었습니다. 공연 실황 중계도 영상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시각적 효과도 함께 사용하였는데, 다소 미약하지만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효과를 주려고 노력한 것 같습니다.

clazziquai project concert 1

클래지콰이 콘서트 현장 자료화면 (출처: http://www.clazziquai.co.kr/)

이번 공연을 보고나서 가수가 가창력과 음악성도 중요하지만 앨범 컨셉, 공연, 캐릭터 등 많은 부분에서 보다 나는 경험을 주어야 사람들이 그 노력에 감동하고 관심을 지속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노래만 잘하는 가수보다 노래도 잘하고 비주얼에 강한 가수가 더 인기가 많은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니까요. 그리고 이런 경험을 한 저로서는 음악과 공연예술에 대한 기대치가 한층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람들은 구글의 Ajax UI와 iPhone의 UI에 찬사를 보냈습니다. 아주 새롭다고 볼 수 없었지만, 구글은 웹브라우저에서 애플은 핸드폰에서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새로움을 선사했습니다. 사람들은 열광했고 사업은 성공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소프트웨어도 결국 사람을 위한 것입니다. 매일 그 나물에 그 밥이 아니라 일관된 철학으로 사용자가 감동할 만한 서비스와 UX를 제공해야 감동을 줄 수 있습니다. 우리는 감동을 주는 소프트웨어는 약한 것 같습니다. 그냥 버그 없이 잘만 동작하면 되고 많은 기능을 제공하며 좋은 것이 아닌가라고 생각해왔습니다. 한참 컨버전스라는 개념이 각광받던 시절이 있었지만 이제는 누구도 컨버전스를 왜치지 않습니다.

이제는 정말 감동을 줄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들어보고 싶습니다.

http://www.clazziquai.co.kr/

클래지콰이 홈페이지 가보면 짧게나마 라이브 공연 실황을 볼 수 있습니다.

http://www.flickr.com/photos/tags/클래지콰이/

어느 분이 콘서트 사진을 공유하셨네요.

댓글()

[행사소개] 공개 SW라이센스 세미나 - Talk about GPLv3

기타|2007. 7. 10. 10:56
2007년 7월 13일 롯데월드호텔 3층에서 GPL v3 에 대한 공개 세미나가 열립니다. 이자리에서는 국내  공개 SW 라이센스 전문가인 충남대 이철남 교수와 한국 Creative Commons를 이끌고 있는 윤종수 판사의 세미나 발표가 있을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위 연결 클릭)

iPhone과 함께 릴리스된(?) GPL v3에 대하여 궁금한 점을 해소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평일이긴하나 참가비가 무료이기 때문에 각 회사에서도 한 두명 정도 참석해도 좋을 듯 싶습니다.

어떤 SW회사이던지 라이센스 문제는 피하기 힘들 것입니다. 아직까지 국내에서 공개SW라이센스가 크게   문제화되지 않았지만 향후 오픈소스 커뮤니티 진영에서 문제를 제기하면 피해갈수 있는 회사는 많지 않을 것입니다. 미리 미리 공부해서 오픈소스를 올바르게 활용하고 기여할 부분이 있으면 적극 기여했으면 좋겠습니다.

GPL v3에 관한 참고할만한 글이 KLDP에 번역되어 올라오고 있습니다.

GNU GPL v.3 번역 - 1 - preamble(前文)
[번역] GPL v3, the Q&A: 1부 - 라이선스
[번역] GPL v3, the Q&A: 2부 - 개발자
[번역] GPL v3, the Q&A: 3부 - 회사
참고하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2py 공개 (python module for me2day open API)  (3) 2007.08.19
클래지콰이 공연을 보고 나서 - UX 관점  (0) 2007.07.17
BarCampSeoul2 참가 후기  (5) 2007.06.04
뇌를 춤추게 하라  (2) 2007.03.19
설치형 블로그의 종말(?)  (0) 2007.03.11

댓글()

WebAppsCon 전길남 교수 키노트 - 이제 시작일 뿐입니다

Web|2007. 6. 22. 15:02
Web Application Conference 2007에 참석하였습니다.

이번 행사는 RIA(rich internet application)관련 워크샵, 컨퍼런스, 패널토의로 구성되어 웹 관련 종사자 뿐만 아니라 기존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도 참가하여 열기가 무척 뜨거웠습니다. 무려 12시간 동안 진행되었고 1000여명의 인원이 참석하였습니다.

1367/580485551_02db9c934c.jpg

사진출처: http://flickr.com/photos/echo4ngel
저녁에는 KAIST 전길남 교수님이 키노트 발표를 해주셨습니다. 전길남 교수는 1982년 한국에 인터넷과 유닉스를 처음 도입하신 분입니다. 특히 인터넷은 유럽이나 일본 보다 빠르게 도입하셨다고 합니다.

여러가지 이야기를 해주셨는데, 기억에 남는 몇 가지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발표 제목은 "한국 인터넷25년 - 다음 25년- "이였습니다.

시장을 크게 보자면서, 다음과 같이 핀란드와 우리나라를 비교하였습니다.
"노키아에 견줄만한 회사로 삼성전자가 있지만 리눅스에 견줄만한 것이 우리에게 없다. 앞으로 SW를 더 열심히 해야 한다"
"핀란드는 글로벌화가 잘되어 있어 이런 행사를 하면 참석자 중 외국인이 10~15%에 해당하는데, 우리는 그렇지 못하다" 며 세계화의 중요성을 설명하였습니다.
"지난 25년간 한국이 인터넷에 기여한 것은 1%도 안되지만 앞으로 25년간은 아시아에서 30% 한국은 최소 5%은 기여해야 한다"고 당부하시고, "이제 시작일 뿐이다"라고 용기를 주셨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5년, 10년 이후를 위해 우리가 신경 쓸 분야로 오픈소스를 꼽으셨습니다. 우리나라가 지금까지 오픈소스에 기여한 것은 거의 없지만 앞으로 5%는 해야한다며, 오픈소스가 주류로 가야 우리나라 발전에 도움이 된다고 강조하였습니다. 또한 글로벌 회사는 오픈소스에 강하다며, 우리도 2만불 시대 선진국이 되었으니 선진국 놀이를 해야 한다고 말씀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이제는 요구분석/리뷰 등을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면서, 후진국은 보통 그렇게 못하지만, 이제 우리는 그렇게 해야 한다고 강조하셨습니다.(SW Process를 철저하게 지키자는 의미) 그리고 운동 많이 하라고 하시네요. 결국 건강없이는 위와 같은 목표를 이룰 수 없겠지요.

전길남 교수는 참석자의 기립박수로 키노트를 마치셨습니다. 밤늦은 시간까지 남은 150여명의 뜨거운 가슴이 하나가 되는 감동의 시간이였습니다.

앞으로 25년은 우리 주도로 인터넷/웹 세상을 만들어 나가야겠습니다.

고맙습니다.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음 DevDay 2007 참석 후기  (3) 2007.09.04
Flickr 한국 런칭 파티 참가... 후기  (0) 2007.08.29
생생한 WebAppsCon 2007 현장  (2) 2007.06.21
me2day 100일 기념 축하~  (3) 2007.06.09
스프링 노트 사용자 모임 참석 후기  (0) 2007.05.07

댓글()

생생한 WebAppsCon 2007 현장

Web|2007. 6. 21. 17:50
webappscon

me2day에서 생생한 웹 어플리케이션 컨퍼런스 2007 현장을 중계하고 있습니다. 모두 me2day사용자에 의해 자발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오늘 밤 9시까지 그 열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Web 2.0, Web Application, Rich Web, Open ID, Open Api, 웹의 미래 등 많은 주제가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생생한 현장을 확인해보세요..

댓글()

자바스크립트 for 2.0 & Learning JavaScript

책읽기|2007. 6. 14. 08:21
b_pic/200705090001.gif

(사진: http://www.kangcom.com)

서점에 가보니 "자바스크립트 for 웹2.0"이라는 그럴듯한 제목을 가진 책이 새로 나와 있었습니다. 부제로는 "JavaScript Web Programming"을 달고 있습니다. 오렐리(O'Reilly) 책을 한빛미디어에서 번역하여 출판하였는데, 웹2.0이라는 다소 자극적인(?) 문구를 제목에 담고 있습니다. 개발 서적까지 웹2.0이라는 문구를 넣는 것이 신선해 보였지만, 제대로 쓰여진 책을까 하는 의심이 들기도 했습니다.

사실 자바스크립트를 체계적으로 공부해 본 사람은 많지 않을것 같습니다. 주로 Copy & Paste로 써왔고 HTML과 덕지 덕지 섞어 쓰느라 그렇게 매력적인 언어로는 보지 않았을테지요. 그러던 것이 Ajax기술이 뜨면서 다시 관심을 받게 되었고, 다양한 JavaScript기반 Toolkit이 나오면서 리치웹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DOM 스크립팅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하여간 이 책은 최근 웹 기술 트랜드를 반영한 자바스크립트 입문서이므로 새롭게 자바스크립트를 배우려는 개발자 또는 웹디자이너 뿐만 아니라 기존 웹개발자에게도 유익한 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catalog/covers/0596527462_cat.gif

(사진: http://www.oreilly.com/catalog/learningjvscpt/)

그런데, 이 책의 원서를 살펴보니 코뿔소 그림만 같지 완전히 다른 책 처럼 보였습니다. (사실 꼬뿔소 그림도 약간 다른데, 머리가 향하는 방향이 다릅니다. 왜 일까요?) 우선 제목이 다릅니다. 원서는 "Learning JavaScript"라는 제목을 갖고 있는데, 다소 일반적인 제목이라 웬지 별 특징이 없는 책 처럼 보입니다. 다행히 책 위쪽 모서리에 "Covers Ajax & DOM"라는 부제목을 붙여서 이 책이 최신 웹기술을 다루고 있음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번역판에 비해 웬지 약해 보이는 것은 사실이다. 오렐리 책을 번역하면서 이 처럼 제목을 완전히 변경한 사례는 처음인 것 같습니다.

책 제목만 봤을 때, 마켓팅 차원에서 보면 한빛미디어가 오렐리 보다는 한수 위라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우선 책 제목을 그럴듯하게 잘 붙였고, 표지도 기존 오렐리 디자인에서 벗어나 약간의 변화를 주어(물론 특유의 단순함은 유지) 이 책이 뭔가 새로운 것을 담고 있다는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아마 서점에서 이 책을 보면 한번 쯤은 내용을 보고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신선해 보였습니다. 물론 기존 자바스크립트 개발자에게는 약간의 낚시성 제목일 수도 있습니다.

아직 번역서의 내용은 보지 못해 이 책이 잘 번역되었는지 판단하기 힘들지만 여하튼 원서보다는 여러모로 신경을 많이 쓴 듯 보입니다. 사실 국내에서 내용 뿐만 아니라 편집이나 표지까지 만족시키는 번역서가 많지 않은데, 최근 들어 원서 만큼의 품질을 제공하는 번역서를 심심치 않게 찾을수 있습니다.

files/book/0903114093.gif

(사진: http://www.acornpub.co.kr)

"조엘 온 소프트웨어"도 그러한 예중에 하나인데, 오히려 원서보다도 더 잘 만들어져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번역한 분의 생각과 번역하면서 참고한 정보들도 함께 담겨져 있어 원서 보다 볼 거리가 더 많습니다.

누가 말했듯이 번역은 새로운 창조인 듯 보입니다. 단순 번역이 아닌 재 창조한다는 생각으로 책을 출판한다면, 번역서가 더 이상 외면 받지는 않겠지요..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책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이후의 세계를 읽고...  (2) 2009.10.11
"대화" 리영희  (2) 2009.01.27
해커와 화가  (3) 2006.07.17
백범일지  (0) 2004.12.06
안데르센 동화를 읽으면서...  (2) 2004.07.04

댓글()

me2day 100일 기념 축하~

Web|2007. 6. 9. 12:20
me2day 100일 기념 축전

한줄 블로그로 유명한 me2day가 서비스 개시 100일째를 맞이하였습니다.
축하드리며 앞으로 Twitter를 능가하는 최고의 서비스가 되길 기원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서비스 많이 만들어주세요~

미투데이 백일잔치 태그 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