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zilla18 Fennec 1.0 beta3 for Maemo 소개 지난 8월 20일날 Fennec 1.0 beta3 for Maemo가 출시되었습니다. 6월 26일날 beta2가 나왔었으니까, 3개월만에 새로운 버전이 공개된 것입니다. 앞으로 beta4가 한 번 더 공개되고 연말에 정식 버전이 나올 예정이라고 합니다. Windows Mobile버전은 그 보다 느려서 내년초에 정식 버전이 공개될 것 같습니다. 이번 beta3의 가장 큰 특징은Flick/ Panning속도의 증가와 관성 스크롤 기능의 향상입니다. 이를 위해 타일 방식으로 한번 화면에 노출된 영역을 Cache하여 관리하는 렌더링 방식을 도입했습니다. 이제 Fennec에서도 iPhone 처럼 flick 속도에 맞추어 페이지가 스크롤되는 모습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자세한 구현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2009. 9. 1. Fennec Architecture 지난 FOSDEM09에서 Fennec의 Front End(XUL)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Mark Finkle이 Fennec Architecture에 대해 발표를 했습니다. 발표 내용을 모질라 위키에도 자세하게 설명 해 놓았는데, Fennec의 설계 철학과 동작 방식을 이해하는데 더할 나위없이 좋은 자료이므로 번역을 해보았습니다. 참고가 될 만한 링크를 넣고, 좀 더 내용을 추가해 이해를 도왔습니다. Fennec의 개발 배경 Fennec은 특별히 터치 스크린(touch screen)를 제공하는 모바일(Mobile) 기기를 위해 설계된 XUL기반의 웹브라우저입니다. Firefox와 Mozilla 플랫폼의 많은 부분을 서로 공유하고 있는데, 같은 HTML Rendering Engine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확장.. 2009. 6. 3. Fennec 1.0 alpha for Windows Mobile 드디어 Fennec 1.0 alpha for Winodws Mobile이 공개되었습니다. Nokia Maemo버전은 이미 베타를 끊었지만, Windows Mobile 버전은 좀 진도가 느립니다. 그 이유는 한 번 사용해보시면 알 수 있듯이 성능이 가장 큰 것 같습니다. 그 동안 치명적인 memory 부족 문제는 jemalloc을 enable하면서 해결되었고, 반응 속도도 많이 향상되었습니다. UI 모습에도 변화가 있습니다. CSS기반으로 변경되었다고 하는데, 다양한 화면 크기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CSS를 도입한 것 같습니다. 그 이유 때문인지 몰라도, Windows Mobile용 Fennec의 화면 UI가 단순한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Maemo에서도 그렇게 변경되었는지 확인을 못해봤지만, Win.. 2009. 5. 20. Fennec 드디어 미라지에서 동작하다 jemalloc을 enable하고 Windows Mobile 용 Fennec을 정상 동작시켰다는 Blassey의 블로그를 보고 , trunk에 있는 코드를 업데이트 하여, 빌드를 다시 했습니다. cab installer를 만들어 설치를 했으나... 심하게 화면이 깨지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상황이 더 안 좋아진 것이죠. jemalloc이 아직 기본으로 enable되어 있지 않은 것이 문제였습니다. 다시 mozconfig파일에 "ac_add_options --enable-jemalloc" 옵션을 추가한 후, 다시 빌드하니 드디어 저도 삼성 미라지폰(i780)에서도 아래와 같이 Fennec이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그 동안 수 차례 미라지를 비롯한 옴니아에도 사용을 시도했으나 웹페이지가.. 2009. 3. 28.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