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NOME8

그놈 한국 GNOME Korea 올해 블로그 업데이트가 뜸하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사실, 블로그를 안하는 것은 아닌데, 여기 보다 GNOME Korea 블로그에 글을 많이 올렸다. 여기 올라갈 것이 그쪽에 다 올라간 것이다.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GNOME Tech Talks을 운영했다. 반응은 좋았고 지금은 홍영기님이 맡아서 운영해주시고 있다. 매달 세미나 결과를 GNOME Korea 블로그에 올렸고, 영문으로도 작성에서 다른 블로그에 올렸다. 1st GNOME Tech Talks2nd GNOME Tech Talks3rd GNOME Tech Talks4th GNOME Tech Talkshttp://blogs.gnome.org/joone/2012/07/27/gnome-tech-talks-in-korea/왜 이렇게 GNOME Korea.. 2012. 12. 31.
WebKitGtk+ Hackfest 2011 참가 후기 작년에 이어 WebKitGtk+ Hackfest 2011에 참석했다. 작년에 이어 같은 장소인 스페인 코루나에서 열려서 그런지, 이제 스페인이 제2의 고향 같다는 느낌이 들 정도다. 물론 스페인은 말은 아는게 "올라"가 전부다. ^^; 작년과 다른 점이 있다면 이번에는 너무나 큰 할 일꺼리를 가지고 갔다는 점이다. 그 동안 webkit-clutter 포트에 작업한 Accelerated Compositing 기능을 WebKitGtk+에 적용하는 것! 너무나 큰 욕심이었을까? 집에 돌아와서 겨우 초기 patch를 반영했다. 어찌되었던 동작하는 데모를 만들었다는데 위안을 삼을 수 있었다. 이외 많은 관심사가 논의되고 해결되었다. WebKit은 정말 뜨거운 프로젝트다. 이런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2011. 12. 13.
GNOME3 Korea Launch Party 어제(4/9) GNOME3 Korea Launch Party가 잘 끝났네요. 베일(?)에 가려져있던 한국 그놈 커뮤니티 분들을 직접 만나게 되어 무척 즐거웠고, 좋은 발표도 이어져, 3시간 동안 알차게 시간을 보낸 것 같습니다. 그놈 플랫폼은 우분투에서 기본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정말 많은 사용자가 국내에도 있지만, 정작 우분투는 알고 그놈이 무엇인지 모르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설명하지면, 우분투는 대표적인 리눅스 배포본 중의 하나이고, 그놈은 우분투에서 사용하는 데스크탑 환경과 기반이 되는 플랫폼 그리고 응용 애플리케이션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주요한 특징은 GTK+라는 Widget Toolkit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GObject 사용합니다. 한국 그놈 커뮤니티에서 그 동안 (아마 10년.. 2011. 4. 10.
WebKitGtk+ Hackfest 2010 후기 (c) 2010 Diegoe http://www.flickr.com/photos/diegoe/5235372842/ 지난 일주일간 스페인 코루나(Coruña)에서 열린 WebKitGtk+ Hackfest 2010 행사를 잘 마치고 잠시 짬을 내어 바르셀로나에 와 있습니다. 여행이 길어지니, 빨리 집에 가고 싶은데, 가우디 건축물을 보면서 그가 소프트웨어 아키텍트였다면, 어떤 새로운 시도를 했을까 하는 잡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하여간, 그도 역시 레오다르도 다빈치 만큼의 대단한 해커였음은 확실하네요. 8일동안 잠자고 먹는 시간 빼고는 11명의 개발자가 모여 WebKitGtk+ 버그 수정과 기능 향상에 모든 시간을 다 보냈습니다. 다행히 하루 반나절 코루나 시내 투어가 유일한 야외활동이였습니다. 우리 만큼 야.. 2010. 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