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omium3 크로미엄(Chromium) 프로젝트 기여하기 chromium.googlesource.com/chromium/src/+/master/docs/contributing.md 여러분의 사용하는 구글 크롬 브라우저(오픈소스 버전은 크로미엄 브라우저라고 부름)는 오픈소스로 관리된다. 소스코드를 공개되어 있고 여러분의 컴퓨터에서 빌드하고 테스트가 가능하다. 그리고 코드를 수정해서 크로미엄 사이트에 올리면 리뷰 과정을 거쳐서 코드가 반영된다. 아주 어려운 일은 아니다. 잘 찾아보면 아무도 신경 안쓰는 수정하기 쉬운 버그도 있다. 우선 크롬 브라우저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대충 알아야할 것이다. 구글에서 만든 수 많은 기술 문서가 있지만, 우선 아래 문서와 발표 자료를 꼭 들어보자. 크롬 브라우저는 어떻게 동작하는가? Life Of a Pixel Life of Pix.. 2021. 5. 1. 크롬대학(Chrome University) 2018: Chrome OS Graphics 101 ChromeOS graphics stack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습니다. Modern Desktop이 어떻게 화면을 그리고 GPU에 최적화 되어있는지 보여줍니다. 특히, ChromeOS는 Wayland를 이용해서 Android app UI와 리눅스 앱 화면에 보여주는데, 이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습니다. 2020. 5. 9. 크로미움 프로젝트 커미터 (Chromiun Project Committer) 얼마전 크로미움 프로젝트 커미터(Chromiun Project Committer)가 되었다. 프로젝트에 기여한지 3년이 되었지만, 사실상 다른 업무로 많은 기여를 하지 못했다. 올해 어느 정도 여유가 생겨서 평소에 관심이 있었던 Blink엔진의 Editing 부분에 집중적으로 기여했다. 어느 오픈소스 프로젝트나 커미터가 되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어떻게 보면 쉽고 어떻게 보면 어렵다. 크로미움 프로젝트의 경우, 주요한 10개의 patch를 기존 커미터들이 평가하는데, 반대 없이 3명 이상의 +1을 받아야 한다. 기여한 patch의 개수는 중요하지 않다. 실제 버그를 수정하고, Feature를 개발하고 성능을 높이고, refactoring도 큰 수준으로 해야 다른 커미터로 부터 커미터 지명을 받을 수 .. 2016. 11.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