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dafone이 운영하는 Linux Community 사이트

FOSS|2009. 5. 5. 09:24


vodafone R&D이 개발자 사이트를 운영하면서 Linux와 Open Source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3G카드를 내장한 Netbook을 직접 판매하면서 리눅스 사용자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우선 각 Netbook에 3G Datacard를 설치하는 방법을 친절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각종 리눅스 배포본 링크도 찾아볼 수 있네요.  참고로, OpenSuse, Fedora, Ubuntu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지원을 위해  Forum을 만들었는데, 나름 열기가 뜨겁습니다. 아무래도 Linux Netbook사용자가 상당수 있는 것 같습니다.

게다가 3G Datacard driver가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있고, SourceForge와 같은 Source Code Repository 사이트도 관리하고 있었습니다. Vodafone에서 제공하는 driver나 개발 관련 SW가  공개되어 있습니다. 물론 사용자가 직접 만든 애플리케이션도 찾을 수 있습니다.

국내에도 wibro가 netbook과 함께 판매되지만 리눅스와 함께 판매된다는 소식은 못들었습니다. 어서 빨리 국내 이통사와 이런 모델을 도입해서 국내 리눅스 사용자를 늘리고 오픈소스에 기여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FO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Qt의 열린 지배 모델  (6) 2010.06.05
iPhone에 대항하는 Linux Phone의 반격  (4) 2009.06.07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움직이는 두 여성  (6) 2009.03.15
FOSDEM 2009 소식  (0) 2009.02.09
VMware Tungsten Graphics 인수  (0) 2008.12.26

댓글()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움직이는 두 여성

FOSS|2009. 3. 15. 21:54
소프트웨어 개발자, 특히 해커 레벨로 내려가면 여성을 찾기란 쉽지 않은 일입니다. 대부분 남성 위주로 전산학과 해커문화가 발전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닙니다. 물론 최초의 버그를 찾고 코볼을 개발한 그레이스 호퍼(Grace Murray Hopper)를 제외하면 말이죠

하지만,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이야기하면 사정은 달라집니다.

현재 가장 대중적인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뽑자면 그놈(GNOME)과 모질라(Mozilla) 커뮤니티를 예로 들을 수 있습니다. 그놈은 대표적인 리눅스 데스크탑 환경이며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주요 오픈소스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모질라는 오픈웹을 표방하며 Firefox, Thunderbird로 대표되는 오픈소스 커뮤니티입니다.

두 커뮤니티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커뮤니티를 이끄는 수장이 바로 여성이라는 점입니다.



사진: duncandavidson, wikipedia

모질라는 미첼 베이커(Mitchell Baker)라는 분이 Mozilla Foundation 이끌고, 그놈은 스토미 피터즈(Stormy Peters)라는 분이 GNOME Foundation을 이끌고 있습니다. 두 분다 실리콘 벨리에 있는 대기업에서 일하다가 오픈소스에 뛰어들어 지금은 커뮤니티를 이끌고 있습니다.

어느 단체 보다 어려운 것이 커뮤니티를 이끄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커뮤니티 또한 복잡한 사회이며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구성되어 있으며, 게다가 영리 단체가 아니기 때문에 자발적인 성금이나 기업의 도움으로 커뮤니티의 살림도 책임져야 합니다.  그래서 이 분들의 역할은 커뮤니티 구성원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기 위해 사상적 배경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모두가 공감할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는 목표와 비전을 제시하는 것이죠.

약간의 차이가 있다면 Mitchell Baker는 오픈웹과 교육을 통한 오픈소스 확산에 관심이 많고, Story Peters는 커뮤니티와 기업간의 협업과 기업 내 오픈소스 확산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두 분의 블로그를 가 보면 끊임없이 고민하고 사람들의 의견에 귀 기울이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처럼,  커뮤니티의 규모가 커질 수록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뛰어나며 카리스마와 함께 부드러움을 겸비한 두 분의 역할이 정말 커 보이는 것 같습니다.

참고

댓글()

FOSDEM 2009 소식

FOSS|2009. 2. 9. 13:53
 

사진:  Teemu Mäntynen

FOSDEM 2009 행사가 지난주에 끝났습니다. 비록 참석은 못했지만 생생한 행사 현장을 여러 블로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FODSEM(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Developer's European Meeting)은 말 그대로 유럽의 오픈소스 개발자가 모이는 가장 큰 행사입니다. 관련 프로젝트가 무척 다양한데, 미국에서 열리는 OSCON(O'Reilly Open Source Convention)과 비교할 수 있습니다.

Track으로 진행된 프로젝트를 보시면,

KDE, GNOME, Mozilla, X.org, Fedora+CentOS, OpenSUSE, BSD+PostgreSQL, GNUStep, Jabber, Debian, Ada, Free Java, OpenOffice, Drupal, Ruby & Rails, MySQL, Linux Kernel

기타로

OpenMoko, Maemo, CMake, Webkit, Xfce 등에 관한 Session이 열렸습니다.

특히 Mozilla 관련 Session이 많았는데,(개인적인 관심사이다 보니 눈에 띄는군요)

  • Mozilla Europe

  • Mozilla Foundation

  • Mozilla and Universities

  • What's after Firefox 3.1

  • Community Sites Project

  • Building XUL communities

  • SeaMonky

  • Overview of Mozilla QA

  • Oni

  • Rising to the Sun(bird)

  • Thunderbird3

  • Prism

  • Fennec

  • Embedding

  • Mozilla headless back-end

  • Events/EduCamp@FOSDEMa2009



사진:  Teemu Mäntynen(Firefox 티셔츠를 입으신 할머니 모습. 감동적인 사진이군요..)

참고로, FOSDEM은 발표 동영상을 항상 공개하고 있습니다. 2009년은 아직 공개되어 있지 않지만, 예전 행사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내년에는 꼭 참가해보고 싶네요.

참고

댓글()

VMware Tungsten Graphics 인수

FOSS|2008. 12. 26. 14:26

http://www.phoronix.com/scan.php?page=news_item&px=NjkyNw



Mesa/DRI, the TTM memory manager, Gallium3D Open Source Project로 유명한 Tungsten Graphics VMWare에 인수되었습니다. X-Window 전문가도 많다고 들었습니다.



이 회사의 솔루션을 잠깐 소개하자면,



1. Mesa Open Source 버전의 OpenGL 라이브러리이고,


2. Gallium3D 3D graphic device driver architecture라고 합니다. Linux Mesa를 지원합니다.


3. DRI(Direct Rendering Infrastructure) X-Window에서 X-Server를 통하지 않고 바로 Graphic HW access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VMWare가 왜 인수했는지 잘 모르겠으나, 사업영역이 확장이 아닐까 싶습니다. 요즘 VirtualBox와 같은 오픈소스 기반의 좋은 OS 가상화 솔루션이 있기 때문에 VMWare입지가 좁아진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하여간, 최근 대기업의 오픈소스 회사 인수 바람이 불었습니다.뭔 가 돈 냄새를 맡은 것 같습니다.



인텔은 Clutter와 Matchbox 유명한 Opened Hand 인수했습니다.


Wind River 국내회사인 미지리서치를 인수했지요.


미지가 인수된 것은 참 다행스러운 일입니다. 이를 기반으로 좀 더 해외에도 많은 솔루션을 공급할 기회를 갖게 될 것 같습니다. 미지 엔지니어에게는 좋은 경험이되겠죠.


댓글()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어떤 힘으로 움직일까?

FOSS|2008. 9. 9. 18:10
얼마전 Channy님과 함께 Firefox Summit에 참석하고 왔습니다. Channy님이 너무나 행사를 잘 정리해주셨지요.

행사에 참석하면서, 도대체 어떤 힘이 이렇게 많은 사람들을 Mozilla라는 이름 아래 함께 하도록 하였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더군다나 세계 각지에서 400여명이나 모였으니 말이죠.

그냥 재미로 리눅스 커널을 만들었다는 리누스 토발즈도 있지만, 그의 작은 커널 프로젝트가 세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OS 커널이 되기까지는 수 많은 사람들을 모이게 한 힘이 있었을 것입니다. 그 힘도 이와 비슷하지 않을까요?

전 세계 수 많은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있고, 이들 프로젝트는 작게는 한명이 꾸려나가기도 하지만, 많게는 수 천, 수 만명이 참여하기도 합니다.

항상 느끼지만, 처음 시작은 리눅스 커널이 그러했듯이 작은 필요성과 재미에서 시작합니다. 하지만 코드가 오픈소스화되고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가치가 생기게 되면 해당 프로젝트는 무섭게 발전하기 시작합니다.

그 가치라는 것은 특정 개인이나 단체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이익을 나눌 수록  폭발력은 상상할 초월한 수준이 됩니다. 전세계 브라우저 시장의 20%를 차지하고 있는 Firefox에서도 볼 수 있듯이요.

모질라의 경우, 처음은 Foundation형태로 시작되었습니다. 그 다음 수익을 관리하기 위해 Corporation도 만들어졌지요. 그 수익을 바탕으로 Full time 개발자를 확보했고 커뮤니티 지원과 공익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Corporation덕분에 좀 더 안정적으로 각 프로젝트를 운영하게 된 것이죠. 하지만 훨씬 더 많은 커뮤니티 구성원이 있고 사용자가 있기 때문에 오늘날 처럼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이것이 가능하게 된 이유는 모질라를 통해 오픈웹과 참여라는 가치를 서로 공유했기 때문입니다.

모질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모든 일은 어느 개인이나 단체가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구성원이 납득하고 공공의 이익에 맞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새로운 가치를 찾기 위해 끊임 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모질라 Foundation은 지금 이 순간도 그러한 가치를 확대하고 공유하기 위해 애쓰고 있습니다.

다른 오픈소스 프로젝트도 마찬가지 일 것입니다. 우선,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누구가 쉽게 참여할 수 있어야겠지요. 그리고 여러사람의 기여를 통해 작은 변화지만 그 가치를 서로 공유될 수 있는 합리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결국, 공개와 참여를 바탕으로 공공을 위한 가치가 공유될 때, 오픈스소 프로젝트는 살아 움직이고 발전하게 되는 것입니다.

자~ 이제 구경만하지 마시고, 본격적으로 참여해볼까요?

'FO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SDEM 2009 소식  (0) 2009.02.09
VMware Tungsten Graphics 인수  (0) 2008.12.26
OSCON과 리누스 토발즈 인터뷰 글  (1) 2008.07.27
노키아의 오픈소스 전략과 활용 사례  (5) 2008.05.29
아시아 오픈소스  (0) 2008.02.14

댓글()

OSCON과 리누스 토발즈 인터뷰 글

FOSS|2008. 7. 27. 22:16
KLDP 권순선님께서 이번에 OSCON참석하면서 근처 사는 리누스 토발즈를 만나고 오셨군요.

무단으로 사진을 잠시 소개합니다..



사진: KLDP

인상이 잠 푸근합니다~ 이 분이 재미로 만든 리눅스가 수 많은 디바이스를 움직이고 있다니, 오픈소스의 힘은 정말 위대합니다. 여전히 커널 커뮤니티를 이끄는 모습을 보니 그 열정과 훌륭한 성품에 감동하지 않을 수 없네요. 다재 다능하고 별난 성격을 지닌 커널 해커를 조화롭게 이끄는 것은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번 OSCON(O'Reilly OpenSource Convention)에는 Channy님도 참석하셔서 좋은 글과 현장 중계를 남겨주셨습니다. 덕분에 가지 않아도 생생한 현장 분위기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먼저 순선님 글...

그리고 Channy님 글..



사진: 윤석찬

두 분이 있기에 한국 오픈소스의 미래가 든든합니다~

댓글()

노키아의 오픈소스 전략과 활용 사례

FOSS|2008. 5. 29. 11:06

노키아 경쟁력의 핵심은 SW기술


노키아(Nokia)는 세계1위의 핸드폰 제조 회사입니다. 국내에는 노키아 폰이 출시가 안되기 때문에 사실 노키아가 어떤 회사인지 왜 세계 1위를 하는지 알기가 힘듭니다.
솔직히 노키아 폰은 삼성, LG폰에 비해 디자인, 기구적인 느낌은 좀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노키아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중저가 핸드폰 부터 고급 컨버전스 핸드폰까지 몇 가지 플랫폼을 기반으로 경쟁사 보다 빠르게 낮은 비용으로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생산합니다[1]. 특히, 노키아는 스마트폰 시장을 이끌고 있는데, 운영체제와 플랫폼에 대한 기술력 없이는 지금의 성과는 얻기 힘들었을 것입니다.

즉, 노키아 경쟁의 핵심은 바로 소프트웨어 기술입니다.


오픈플랫폼를 통한 SW 중심 회사로의 전환


노키아가 지금과 같이 SW회사로서의 면모를 갖추기까지 많은 노력이 있었습니다. 심비안(Symbian)의 최대 주주가 되어 안정적으로 Symbian OS기반 스마트폰과 S60 플랫폼을 개발하였고, 노키아 폰을 하나의 SW플랫폼 기반에서 개발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잠깐 노키아 위기론이 나올 때, 바로 SW플랫폼 구축을 통해 SW중심으로 회사의 체질을 바꾸는 시점이였습니다. 그 이유는 전자기기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환되면서 HW기술 격차는 날로 줄어들고 인터넷과 멀티미디어를 중요성이 커지면서 SW역할과 복잡도가 증가되었기 때문입니다.

삼성전자나 모토롤라가 자체 모바일 플랫폼이 없다시피한 상황에서 S60은 노키아 경쟁력의 핵심이 되고 있습니다. 재밌는 사실은 삼성전자와 모토롤라도 경쟁사인 노키아 S60기반의 핸드폰을 만드다는 사실입니다. 그 이유는 S60이 Windows Mobile과 같은 오픈 플랫폼이고 통신사가 원하면 제조사는 S60기반의 핸드폰을 만들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경쟁사도 쓸 수 밖에 없는 S60플랫폼을 만든 노키아가 그 만큼 시장에서 환영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것이지요.


오픈소스를 통한 SW 핵심기술 확보


게다가 iPhone 등장으로 Full Browsing이 핸드폰의 핵심 기능으로 등장하였습니다. 노키아는 iPhone출시 이전에 이미 오픈소스인 WebKit을 S60에 포팅하여 경쟁사 보다 앞서 Full Browser를 제공해왔습니다[2]. 현재도 애플과 함께 WebKit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 때 부터 노키아가 본격적으로 오픈소스 커뮤니티와 협력하기 시작한 시점 같습니다. 웹브라우저와 같이 복잡도가 높고 안정화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제품을 처음 부터 개발할 수도 없었고, 외부 업체 웹브라우저를 자사 플랫폼에 넣기 어렵습니다(애플도 결국 IE를 버리고 Safari를 개발했지요). 핸드폰에 추가하는 것은 돈만 주면 해결될 문제지만, 플랫폼에 기본적으로 포함시킨다는 것은 비용도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전략에 맞추어 브라우저를 수정할수도 없기 때문에 어려운 문제였습니다. 노키아는 이를 WebKit으로 쉽게 해결한 것입니다.

하지만 플랫폼의 중요성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노키아로서는 S60만으로는 안심할 수 없었습니다. S60의 기반인 심비안OS는 Windows Mobile, Linux 만큼 강력한 OS가 아니기 때문에 노키아 차세대 플랫폼을 대신할 수 없었습니다.


오픈소스를 통한 SW 플랫폼 경쟁력 확보


오픈소스 기반 maemo 모바일 플랫폼



노키아는 2005년 5월 25일 독자적으로 리눅스 커널과 다른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Maemo 플랫폼을 발표하고 이를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운영하시 시작했습니다[1]. 그 후, 2006년 6월 애플은 iPhone으로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UX를 제공하며 모바일 플랫폼 사업에 뛰어들었고, Google은 2008년 1월 안드로이드라는 오픈소스 모바일 플랫폼을 내 놓으며, 활동영역을 모바일로 넓이기 시작했습니다.

노키아는 경쟁사 보다 1년 먼저 새로운 모바일 플랫폼을 확보할 수 있을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잘 활용했기 때문입니다. 노키아는 소프트웨어 회사도 아니였고 그렇다고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나 애플(Apple)처럼 다양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보유한 회사도 아니며, 그와 관련한 SW 인력이 풍부한 회사도 아닙니다. (물론 다른 전자회사보다는 훨씬 많은 2만여명의 SW엔지니어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비록 Symbian이라는 OS가 있었지만, 애초부터 성능이 낮은 모바일 기기를 대상으로 설계된 OS이므로 이를 개선한다는 것도 쉬운일은 아니였을 것입니다. 그들에게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았고 선택은 바로 오픈소스였습니다.

Maemo플랫폼이 처음 적용된 Nokia 770삼성전자의 넥시오(Nexio) 을 보고 충격을 받아 만들어진 제품이라고 합니다. 넥시오는 Windows CE를 사용하였고 키보드 없이 큰 스크린을 가진,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모바일 디바이스였습니다. 노키아가 Nokia 770에 삼성전자 처럼 Windows CE를 사용하지 않고 자신들이 주도할 수 있는 오픈소스 플랫폼을 사용한 것은 지금 보면 탁월한 전략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것은 단순히 비용 절감 차원이 아닌 노키아 영향력 아래 오픈소스 커뮤니티와의 협업을 통해 오픈 플랫폼을 확보하게 된 셈이니까요.

오픈된 maemo 플랫폼은 당연히 수 많은 오픈소스 개발자, 일반 개발자가 관심을 보일 수 밖에 없고 노키아는 별 다른 노력없이 많은 개발자와 다양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노키아가 자신들의 오픈 플랫폼을 위해 개발자를 양성하고 각 개발자가 품질 좋은 소프트웨어를 만들어 내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아마도 S60 SDK를 만들면서 느꼈을 것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나 애플 정도 위치가 아니고서 오픈 플랫폼 사업을 한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죠.

이런 의미에서 리눅스, GTK+, Matchbox 기반의 오픈소스 모바일 플랫폼을 만든 것은 정말 잘한 선택이라고 볼 수 밖에 없습니다.



경쟁사가 maemo 플랫폼에 쉽게 뛰어들 수 없는 이유



maemo 4.x의 소프트웨어 스택. 모든 콤포넌트가 오픈소스 SW로 구성되어 있다[3]

물론 리스크도 있습니다. 경쟁사가 meamo 플랫폼을 오히려 더 잘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파이 전체를 키우는 셈이 되기 때문에 노키아에 득이 되면 되었지, 손해 보는 장사는 아닙니다. 게다가 meamo는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경쟁사가 아무리 잘해도 결국 소스코드는 공개될 것이고 노키아 보다 뒤에 뛰어든 경쟁사가 과연 노키아 만큼 잘 하기는 힘들 것입니다.
대부분의 maemo용 SW는 이미 리눅스에서 개발된 SW입니다. 대충 동작은 할지 몰라도 쓸만한 수준으로 성능을 확보하기란 쉽지 않은 문제이죠. 하지만 노키아는 이런 부분을 잘 해결했습니다. 덩치가 크다는 Mozilla도 잘 포팅하여 microB로 거듭난 것 처럼 말이죠[4]. 성능개선과 최적화에 많은 노하우를 확보했으리라 생각합니다. 이런 이유인지 몰라도 삼성전자와 모토롤라는 maemo가 아닌 LiMo 라는 리눅스 기반의 모바일 플랫폼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Hildon을 커뮤니티로 이양[2]


Hildon은 maemo 플랫폼 중 노키아가 직접 개발한 GTK+ 기반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Mobile Application Framework)입니다. maemo의 핵심 요소였던 Hildon은 maemo 플랫폼의 가장 큰 경쟁력이였고 차별점이였습니다. GTK+기반이기 때문에 오픈소스화되었지만 노키아가 지배하고 있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였습니다. 이를 과감히 GNOME 커뮤니티에게 이양한 것입니다[5].

노키아가 오픈소스를 좋아하고 친 커뮤니티적이기 때문일까요? 절대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노키아의 선택은 주변환경의 변화와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생태계를 잘 이해했기 때문이고, 이런 결정이 그들에게 득이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리눅스 기반의 모바일 플랫폼이 maemo만 있는 것이 아니라 앞서 이야기한 LiMo도 있고 Intel이 참여한 Mobile Ubuntu도 있습니다[6]. 특히, Ubuntu Mobile에서도 Hildon을 안심하고 사용한 것도 노키아의 결정 때문은 아닐까요? 참고로, Hildon이양이 먼저인지, Ubuntu Mobile에서 Hildon을 사용하기로 한 것이 먼저인지 확인을 못했지만, 서로 영향을 준 것은 분명합니다.

GNOME의 일부가 된 Hildon은 인텔의 참여로 더욱 강력한 힘을 얻었고 모바일 플랫폼에서 새로운 표준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웍으로 떠오를 전망입니다.


개발자와 사용자와의 채널 구축


오픈 플랫폼을 개발할 때, 가장 공을 들이는 부분이 바로 개발자 양성과 응용 애플리케이션 확보입니다. 구글이 안드로이드를 발표한 이후, 큰 상금을 걸고 개발자 대회를 여는 것을 보면 얼마나 중요한지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나 애플 처럼 운영체제를 갖고 다양한 개발툴을 제공하는 회사는, 보다 쉽게 개발자를 양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정말 잘했던 회사가 바로 마이크로소프트이고, 수 많은 윈도 개발자가 바로 마이크로소프트의 큰 자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많은 개발자들이 리눅스 환경에 익숙하고 오픈 소스와 오픈 플랫폼을 좋아합니다. 이를 잘 알고 있는 노키아는 maemo를 리눅스 기반으로 오픈 플랫폼으로 만들어 수 많은 개발자를 끌어들이고 있고, 이들의 참여를 적극 유도할 수 있는 개발자 사이트를 구축했습니다. 이곳에서 커뮤니티 주도로 문서화 프로젝트가 진행되어 사용자와 개발자에게 필요한 정보가 공유되어 있고, 오픈소스 프로젝트 호스팅 서비스를 통해 개발자와 사용자가 maemo용 소프트웨어를 함께 개발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전략은 maemo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S60플랫폼에도 적용되어 개발자와 사용자를 연결해주는 웹사이트가 구축되어 개발자가 개발한 SW를 사용자들이 쉽게 다운로드해볼 수 있습니다. 심지어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멀티미디어 파일, 벨소리까지도 공유할 수 있습니다.


노키아의 고민


maemo를 잘 살펴보면, 노키아가 한 일은 Hildon이라는 GTK+기반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웍을 개발한 것과 다른 오픈소스 SW를 잘 통합한 일 뿐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단순히 통합이라고 말하기 힘들 것은 앞서 이야기 했듯이, 커뮤니티 양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할 만한 성능을 확보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오픈소스 SW를 자기들 전략에 맞추어 주도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이기 때문에 노키아 개발자와 실제 해커들과의 협업을 통해 많은 문제를 해결했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키아가 Trolltech를 인수한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7] 그 이유를 곰곰히 생각해보면,



  • 오픈소스를 자신들의 영향력 아래 두고 원하는 방향을 이끌기가 어려웠을 것입니다.



  • 모바일 기기에서 X-Window와 GTK+의 한계를 느꼈을 지도 모릅니다.


Trolltech는 QT ebmeeded를 통해 Mobile환경을 지원해왔지만, GTK+는 X-Window가 필요했고 DirectFB가 있긴 하지만 성능에 대한 논쟁은 계속 있어왔습니다.



  • 무엇보다 iPhone과 같이 HW가속 기반의 화려한 그래픽이 가능한 GUI 프레임웍이 필요했을 것입니다.


이는 maemo뿐만 아니라 S60플랫폼에도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


결국, 기업 입장에서 중요한 것은 오픈소스, 오픈 플랫폼이 아니라, 얼마나 빠른 시간에 내가 원하는 기능, 기술을 확보하고 시장을 지배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는 것입니다. 사람을 투입해서 해결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해야하고, 오픈소스를 써야 한다면 과감히 써야하고, 회사를 인수해야 한다면 인수하는 것입니다. 물론 가장 비용이 적게 들고 쉽게 할 수 있는 일이 오픈소스 SW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아직까지 오픈소스를 꼭꼭 숨겨두고 활용하는 회사가 있다면, 이미 경쟁에서 한참 뒤져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노키아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결국 모든 것은 시간과의 싸움입니다. 좀 더 빠른 시간에 제품을 출시하고 고객을 만족시키고 싶다면 오픈소스를 오픈소스답게 활용해야 합니다.

오픈소스를 어떻게 오픈소스 답게 활용해야 할까요? 이 이야기는 다음에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문헌


댓글()

아시아 오픈소스

FOSS|2008. 2. 14. 09:23


Mozilla Corporation 소속 Gen Kanai씨가 Lift Conference에서 "Open Source in Asia"제목으로 발표한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참고로 Lift Conference는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행사입니다.

발표 내용은 크게 Mozilla Community in Asia와 Open source in Asia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아시아 모질라 커뮤니티

현재 아시아 지역에서 모질라 활동에 대해 소개하면, 중국과 일본은 Mozilla Corporation에서 공식적으로 지사를 운영 중이고, 한국과 대만은 커뮤니티에서 활동을 주도하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의 경우, 시장이 커지고 있는데, MS에서 일했던 Dr. Li Gong가 Mozilla China를 운영중입니다. 일본은 2000년 MozillaGumi라는 모질라 커뮤니티가 만들어졌고 2004년에 Mozilla Japan이 설립되었습니다. 현재 파이어폭스는 일본내에서 약 10~12%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윤석찬님께서 작지만 강한 커뮤니티를 이끌고 있는데,  사회적 영향으로 시장 상황이 특이합니다. 한국은 어디서나 브로드밴드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정부 주도로 e-Commerce, e-Goverment가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보안 트랜잭션이 필요한 전자상거래, 은행거래를 위해서는 반드시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런 이유로 시장 환경은 제약적이며,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사실상 독점적 표준이 되었습니다.

2. 이시아 오픈소스

현재 아시아 지역의 회사과 비지니스에서 오픈소스를 잘 활용하고 있지만, 참여와 기여는 잘 못하고 있습니다.

리누스 토발즈가 최근 언급했듯이 세가지 장벽이 있다고 합니다.

1. 문화 (큰 장벽) =>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참여, 소스코드 제안/공유 이런 부분 좀 부족하죠..

2. 언어 => 주요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사실상 영어를 사용합니다.
3. 교육 => ??

이외에 인도에는 수 많은 SW 개발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픈소스 활동이 부족한 것은 대부분 아웃소싱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관련된 오픈소스 프로젝트나 기술에는 참여하기기 힘든 부분을 지적했습니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아시아도 나름 열심하고 하고 있는데,

1. 일본의 루비
2. 중국정부 주도의 홍기(Red Flag) 리눅스
3. 부탄이라는 나라가 자국 언어 지원을 위해 리눅스 기반 Dzongkha Debain Linux개발

예로 소개하였습니다. 특히 부탄이라는 나라는 인구가 2백만밖에 안되는 작은 국가이며, 고유의 문자와 입력체계를 갖고 있어 윈도에서 제대로 지원을 받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데비안 리눅스를 기반으로 자국어 리눅스를 개발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는 작은 국가에서 오픈소스를 활용하여 그들의 언어로 그들을 위해 스스로 제어할 수 있는 운영체제를 만들 수 있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행인 것은 일본의 루비가 아시아를 대표할 만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라는 것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자세히 소개하더군요.

우리나라도 나름 열심히 하지만(태터툴스, 제로보드, 스프링노트 에디터 부분), 웹기반 위주이고 아직까지는 우리나라만 국한 된 듯 보여 아쉬웠습니다.

결론적으로, 아시아가 나름대로 오픈스소에 기여해 왔지만, 더 많은 활동이 필요하며 여러분의 참여와 도움이 필요하다며 발표를 마쳤습니다.

댓글()